언제나 조경에 진심인
온그린 조경컴퍼니입니다
지난번에 이어 유럽의 정원 그 3 번째
프랑스의 정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랑스식 정원은 쉽게 말하자면
절대왕권을 상징하는 장엄한 규모의 화려하고 균형잡힌 아름다움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프랑스식 정원은 이탈리아식 정원의 영향을 받았으며
르네상스의 문화와 예술과 더불어
이탈리아의 정원을 들여오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프랑스는 넓고 평탄한 지형에 맞도록
평면기하학적 형식을 가진 정원으로 발전시키게 됩니다
프랑스식 정원의 정석 빌랑드리 성의 정원
프랑스 정원의 가장 정점이라고 볼 수 있는 시기는
이탈리아로부터 바로크 양식을 들여오면서 부터입니다
특히 17세기 루이 14세 통치시기에 화려함과 웅장함을 지닌
왕정 스타일의 정원이 조성되기 시작했습니다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베르사유 궁전의 정원입니다
강력했던 왕의 힘을 과시하고자 매우 웅장하고 남성적인 힘이 풍겨나는 정원을 탄생시켰습니다
베르사유 궁전 앞 광장이나 공원에서 찾아볼 수 있는 건축물들로
꾸며진 기하학적인 대칭형 구조와 함께
전체적인 풍경 곳속인공 분수대 및 동상들을 배치하여
공간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졌습니다
이는 유럽 각국의 궁정문화로 확산되어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절대왕권을 상징하는 장엄한 규모와 자수화단 등의 특징을 가진
프랑스의 정형적인 정원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분수대입니다
그리고 기하학적인 무늬들을 사용하여 질서 정연하고 배치하였으며
대칭형 구도를 선호하였습니다
나폴레옹이 사랑한 퐁텐블로 궁전
베르사유 궁전과 마찬가지로
보르비콩트 성과 같은 왕실 소유의 성은
완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주변 경관 요소들과의 조화보다는
크고 화려한 장식물들을 많이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웅장하며
균형잡힌 아름다움의 느낌을 줍니다
베르사유궁전의 원모델 보르비콩트 성
정리하자면
16세기까지는 서양정원문화의 기초였던 그리스, 로마풍의 영향을 받아
정교하고 절제된 형태의 정원설계가 주를 이루었다면
17세기부터는 개인주의 사상이 나타나면서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고자 했습니다
이때부터는 예술성이 가미된 화려한 장식미가 돋보이는
현대식 정원 디자인이 등장하였고 19세기 산업혁명기를 거쳐
20세기 초반 모더니즘 시대로 접어들면서 보다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담긴 정원양식이 등장하였으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동화 같은 아름다움의 쉬농소 성
예술의, 예술가의 나라 프랑스
그 명성에 걸맞게 아름답고 창의적인 정원들이
매우 많이 있습니다
이번에 미처 포함하지 못한 다른 여럿의
정원들 또한 찾아보신다면
그 아름다움과 예술성에 빠져들것이며
서양정원의 한 축을 프랑스가 담당하고 있는 이유를
알게 될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조경 관련 문의는 언제나 조경에 진심인
저희 온그린 조경컴퍼니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Comments